“삼성전자는 어떤 업체에 비해서도 스마트폰 카메라와 이미지 센서, 모바일 칩셋(AP) 조합을 가장 많이 고민하고 있다. 이 측면에서는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자신이 있다. 중국을 포함한 각국 경쟁사를 벤치마킹하면서도, 삼성만의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
조성대 모바일경험(MX) 사업부 부사장은 3일(현지시각) 오후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래스(MWC) 2025’가 열리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진행한 기자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MWC 2025 개막 전날 공개된 프리미엄 스마트폰 ‘샤오미 15 울트라’를 염두에 두고 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샤오미 15 울트라는 2억 화소 망원 카메라를 통해 최대 200㎜ 광학 줌이 가능한 게 특징이다.
조 부사장은 “새로운 카메라 렌즈나 센서 등 새로운 부품이 나올때 마다 렌즈 개수를 줄이거나 디자인을 변경하는 등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며 “올해 출시한 갤럭시 S25 시리즈는 많은 고민 끝에 나온 최적의 조합을 통한 고성능 구현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카메라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도 어도비를 포함한 유력 기업들과 다양한 논의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조 부사장은 인공지능(AI) 기능도 경쟁사와 차별화하겠다는 의지를 표했다. 조 부사장은 “경쟁사들도 비슷한 퀄컴 AP를 사용하지만, 삼성전자가 쓰는 AP는 커스텀 된 별도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며 “현재도 최적의 AI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가 지난 1월 공개한 갤럭시 S25 울트라는 2억 화소 메인(광각) 카메라와 5000만 화소 5배 줌, 1000만 화소 3배 줌을 활용해 1배(광학)·2배(광학 수준)·3배(광학)·5배(광학)·10배(광학 수준) 모두에서 무손실(Lossless) 이미지를 생성해 내는 게 특징이다. 삼성 로그(Samsung Log)기능으로 10-bit HEVC 코덱을 활용한 촬영과 색 보정 기능인 LUT(Look Up Table)를 제공하고, 기존 대비 4배 확장된 색 표현과 정밀한 색감 조정한 통해 고품질 영상 제작도 가능하다.
온디바이스 AI가 정밀한 선택(Segmantation)과 이미지 맥락 이해(Image Understanding)를 통한 정확한 프롬프트(명령어) 생성을 통해 편집 작업도 쉽고 정교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반사나 그림자와 같은 피사체에 연관된 정보를 같이 인식해 AI가 자연스럽게 이미지를 생성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