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키오스크를 사회적 약자도 사용이 편리하도록 개선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2일 오후 서울 무교동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사무소에서 제조업체 등을 대상으로 ‘배리어프리(고령자·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가 느끼는 불편함 제거) 키오스크 기술·보급 지원 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사업은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제작 기술력을 지원하고 기기 기능 검증 과정을 돕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추가경정예산에 이 사업비 총 92억 규모가 반영되면서 추진이 이뤄졌다.
장애인차별금지법·지능정보화 기본법의 개정에 따라 장애인·고령자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이용 편의를 위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설치 등이 제도화됐다. 과기정통부 측은 “기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 키오스크 설치·운영자 등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키오스크 제조·개발 업체를 대상으로 배리어프리 기술력 보급·확대를 위한 기술 컨설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기술지원 컨설팅은 중소 키오스크 개발·제조사 5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중소 키오스크 개발·제조사의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제작·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시행착오를 최소화해 시장에 다양한 배리어프리 기기가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특히 디지털 취약계층이 ‘무인 매장’과 ‘금융 365 코너’에 설치된 키오스크 사용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봤다. 배리어프리 기기를 이곳에 우선 보급할 수 있도록 사업 예산의 15억원을 투입한다.
기존 키오스크를 배리어프리 기기로 할 수 있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HW·SW) 기술도 지원한다. 점자 키패드를 부착하거나, 휠체어 이용자도 조작할 수 있도록 추가 모니터를 설치하는 식이다.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 상점 사업을 통해 소상공인 등에게도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공급이 예정돼 있다. 과기정통부는 해당 사업을 통해 보급될 기기의 배리어프리 기능 충족 여부 검증도 지원할 계획이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이번 추경 사업을 통해 배리어프리 키오스크의 공급이 증가해 자영업자·소상공인 등의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도입 부담이 완화될 것”이라며 “배리어프리 키오스크의 확산이 가속화돼 고령층·장애인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키오스크 이용 편의성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