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국가신용등급 강등 여파 속에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고위 인사들이 기준금리 인하 시기에 대해 신중론을 펼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속적인 금리 인하 압박에도 불구하고, 연준은 적어도 9월 이전까지는 현행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신호를 시장에 보내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 /로이터=연합뉴스

19일(현지 시각) 블룸버그·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모기지은행협회(MBA) 콘퍼런스에서 “6월이나 7월에 미국 경제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단정하기 어렵다”며 데이터를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는 경제에 대한 이해가 더 필요한 시점이라며 달러화 자산에 대한 우려가 일부 있으나 외국 자금의 미 국채 유입에는 주요한 변화가 없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 국채 수익률 상승에도 “미 국채 시장은 매우 잘 작동하고 있다”며 핵심 채권 시장의 안정성을 평가했다.

이어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이 “매우 양호하다”고 진단하며 현재 연준의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는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서 “매우 적절하게 설정돼 있다”고 말했다.

연준은 작년 12월 기준금리를 4.25~4.50%로 인하한 뒤 현재까지 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향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는 6월, 7월, 9월, 10월, 12월에 예정돼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에서도 6월 금리 동결 가능성은 91.4%, 7월은 66.9%로 전망되며,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29.7%로 낮게 점쳐지고 있다. 연간 금리 인하 횟수 전망도 기존 4회에서 2회로 축소되는 분위기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역시 CNBC·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금리 동결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 가능성을 함께 고려할 때 “올해 단 한 차례의 인하가 바람직하다”고 밝혔으며 무역 협상 속도와 신용등급 하향의 영향을 고려해 “3~6개월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무디스는 지난 16일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a’에서 ‘Aa1’로 한 단계 하향 조정한 바 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역시 더 많은 정보를 확보하기 전까지는 정책 결정을 유보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도 한 행사에서 “현재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정책 변화의 여파를 관망하는 것이 적절하다”며, 신용등급 강등도 물가 안정과 고용 달성이라는 연준의 핵심 목표와 관련해 평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치적 요소는 평가 대상이 아니라고 덧붙였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의 신중한 태도에도 연일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13일에도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연준은 유럽과 중국처럼 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