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칸 영화제에 참석한 벨라 하디드. /AP연합뉴스

제78회 칸국제영화제(이하 칸 영화제) 주최 측이 영화제 개막까지 하루를 앞두고 레드카펫 행사 등에서 노출이 과한 의상 착용을 금지한다는 ‘드레스 코드’를 발표했다. 올해는 여배우들의 파격적인 누드·볼륨 의상을 보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13일 미 CNN 등에 따르면 칸 영화제 측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품위 유지를 위해 레드카펫뿐 아니라 축제장 내 모든 지역에서 노출된 몸(누드)이 금지된다”며 “이 규칙을 준수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레드카펫 출입을 금지할 의무가 있다”고 했다.

해당 공지는 공식 홈페이지의 질문 코너(FAQ)에 올라온 복장 규정(드레스 코드)이 있는지 묻는 말에 대한 답변이었다. 영화제 측이 공식적으로 과도한 노출 의상 금지를 명문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칸 국제영화제 사무국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13일(현지 시각) 개막하는 제78회 칸 영화제에서 노출이 심한 의상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복장 규정을 발표했다. /칸 국제영화제 홈페이지 캡처

영화제에 따르면 행사의 품위 유지를 위해 참가자들은 레드카펫을 비롯한 모든 영화제 내 행사 공간에서 누드 복장은 입을 수 없다. 또 관객들의 동선을 방해하고 극장 내 좌석 배치를 복잡하게 만드는 볼륨감 있는 의상이나 옷자락이 지나치게 긴 거추장스러운 드레스 의상도 허용되지 않는다.

세계 3대 영화제(칸·베를린·베니스) 중에서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만큼, 칸 영화제는 엄격한 복장 규율 방침으로 유명하다. 특히 뤼미에르 대극장 저녁 상영회는 초청작 감독·배우는 물론 작품을 관람하는 모든 관객이 롱 드레스나 턱시도, 리틀 블랙 드레스, 어두운 색의 수트 정장을 입어야만 입장할 수 있다. 신발 역시 굽이 있거나 없는 구두 및 샌들만 신어야 한다. 백팩과 같이 큰 가방은 반입이 불가하다. 대신 대극장 저녁 상영회를 제외한 모든 상영관은 단정한 복장이기만 하면 출입할 수 있다.

이번 칸 영화제 주최 측의 조치와 관련해 CNN은 “최근 각종 영화제나 축제 등에서 ‘누드’ 드레스가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것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최근 멧 갈라와 그래미 어워드 등 각종 해외 유명 시상식에선 초청된 일부 배우나 가수, 인플루언서들이 노출이 과하거나 기괴한 디자인의 의상을 입고 공식석상에 등장해 화제 및 구설에 오르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지난해 칸 영화제에서도 모델 벨라 하디드가 명품 브랜드 생로랑의 살구색 시스루 드레스를 입고 영화 ‘어프렌티스’의 시사회에 참석했다가 구설에 휘말리기도 했다.

한편 칸 영화제는 오는 24일까지 프랑스 칸 일대에서 열릴 예정이다. 올해는 한국 장편 영화가 단 한 편도 초청되지 못했다. 대신 한국 감독의 단편 영화 두 편이 초청됐고, 홍상수 감독이 한국인 중 여섯 번째로 올해 영화제의 심사위원단에 합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