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JD 밴스 부통령이 2025년 4월14일 워싱턴 백악관 사우스론에서 열린 2025 미국 대학풋볼 챔피언 오하이오주립대 풋볼팀 환영 행사 후, 오벌오피스 근처에서 잠시 멈춰 서 있다./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프리카 외교를 대폭 축소하는 행정명령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공관 철수와 국무부 조직 해체 등 미국 외교 정책에 큰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20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을 검토 중인 16쪽 분량의 행정명령 초안을 입수해 보도했다. 초안에는 아프리카 각국의 미국 대사관과 영사관 가운데 필수적이지 않은 외교공관을 오는 10월1일까지 폐쇄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 같은 조치를 통해 외교 임무를 간소화하고 낭비와 남용을 줄인다는 방침이다. 앞으로 아프리카에 파견되는 외교관은 ‘목표지향적·임무 기반 배치 방식’에 따라 특정 과제를 중심으로 활동하게 된다.

국무부 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을 전담하던 ‘아프리카국’은 폐지되고, 대테러 등 특정 안보 사안에 특화된 특사 조직이 관련 업무를 담당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워싱턴DC 국무부 본부의 기후변화, 난민, 민주주의 및 인권 관련 부서들도 폐지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크다. 이들 부서를 총괄하던 차관직과 함께 기후 특사직도 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마약과 같은 국가적 위협에 대응하는 신임 차관직은 신설될 예정이다.

이번 개편안에는 아프리카뿐 아니라 캐나다 외교축소 방안도 포함돼 있다. 오타와 주재 미국 대사관의 조직이 대폭 축소되며, 북미지역을 담당하는 조직도 인력 감축이 이뤄질 예정이다.

해외 외교공관과 국무부 본부의 대규모 구조조정이 예고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외교관 채용제도도 개편할 계획이다. 기존의 시험 중심 선발 방식은 폐지되고, ‘대통령의 비전에 부합하는 인재’를 선발하는 방식이 도입될 전망이다.

국무부의 장학 사업도 대폭 축소된다. 기존에 다양한 전공자를 대상으로 운영되던 풀브라이트 장학금은 국가안보 분야 석사과정 지원자에 한해 제공되며, 흑인 명문대 하워드대와의 장학 프로그램 계약도 종료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외교관을 꿈꾸는 유색인종 학생들을 지원해온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