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광둥성 광저우시에서 코로나 백신 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차이나데일리

중국에서 코로나 백신 미접종자의 공공장소 입장을 금지하는 지역이 늘고 있다. 앞으로 코로나 백신을 맞지 않은 성인은 수퍼마켓이나 식당, 병원 등을 이용할 수 없어 일상생활에 상당한 불편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중국에서 백신 접종은 개인 선택에 따른 자발적 접종이 원칙이지만, 각종 불이익·차별 조치를 통해 사실상 접종을 강제한다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장시·저장·산둥·안후이·푸젠·산시성 등의 일부 도시가 최근 18세 이상 백신 미접종자의 공공장소 이용을 제한하는 조치를 잇따라 내놨다. 입장 때 스마트폰의 헬스코드 앱(응용 프로그램)에 뜬 백신 접종 증명서를 보여줘야만 공공시설에 들어갈 수 있게 한 것이다.

18세 미만 미성년자나 2회 기준 1회 접종을 마친 성인은 입장 제한 조치에서 면제된다. 건강상 이유로 백신을 접종할 수 없는 성인도 의료기관에서 발급한 확인서를 제시하면 입장이 가능하다.

중국 남동부 푸젠성 진장시는 22일부터 백신 미접종자는 회사·학교·마트·은행·기차역·문화시설·호텔·관광지 등 주요 공공장소 접근이 금지된다고 발표했다. 21일까지 최소 한 차례 접종을 마친 사람만 공공시설을 드나들 수 있다. 중국 북서부 산시성 한청시는 15일부터 백신 접종자만 마트·쇼핑몰·문화시설 등에 들어갈 수 있게 했다. 저장성 닝하이현, 장시성 딩난현·안위안현, 안후이성 닝궈시 등도 비슷한 조치를 발표했다.

백신 미접종자 차별 조치는 중국 정부가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연말까지 인구의 70% 접종을 완료한다는 목표를 추진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앞서 중국은 6월 말까지 전체 인구의 40%가 백신을 접종하게 한다는 목표를 우선 달성했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13일 기준 중국 본토(홍콩·마카오·대만 제외)에선 14억 회 이상 백신 접종이 이뤄졌다. 중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접종 건수가 22억 회에 달해야 집단면역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2회 접종 기준, 중국 인구 14억 명 중 11억 명이 모두 맞아야 접종률 79% 수준의 집단면역을 이룰 수 있다는 얘기다. 곧 광시좡족자치구와 후베이성 등 일부 지역을 시작으로 12~17세 미성년자 백신 접종도 시작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