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는 미국과 중국 간 ‘제네바 무역 합의’ 이행을 둘러싼 갈등으로 큰 변동성을 보인 후 혼조세로 거래를 마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합의 위반을 주장하며 위험 회피 심리가 고조됐으나, 이후 대화 해결 의지를 내비치면서 보합으로 장이 마감됐다.
30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4.34포인트(0.13%) 오른 4만2270.07에 거래를 마감했다.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48포인트(0.01%) 내린 5911.69, 나스닥종합지수는 62.11포인트(0.32%) 떨어진 1만9113.77에 장을 마쳤다.
시장은 최근 체결된 미·중 간 제네바 무역 합의의 지속성에 대해 우려했다. 트럼프는 이날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나쁜 소식은, 어떤 사람들에게는 놀랍지 않겠지만, 중국이 우리와의 합의를 완전히 위반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2주 전만 해도 중국은 심각한 경제적 위기에 처해 있었다”며 미국과 중국 간 협상으로 모든 것이 빠르게 안정됐으나 중국이 합의 사항을 위반했다고 했다.
이에 워싱턴 주재 중국 대사관은 성명을 내고 “차별적 제한을 중단하고 양측은 제네바 고위급 회담에 합의된 것을 공동으로 준수해야 한다”고 맞받아쳤다. 중국에 대한 추가 제재 가능성 보도와 백악관 관계자의 경고성 발언은 투자 심리를 급격히 위축시키며 주요 지수의 급락을 초래했다.
중국에 대한 추가 제재 가능성 보도와 백악관 관계자의 경고성 발언은 투자 심리를 급격히 위축시키며 주요 지수의 급락을 초래했다.
하지만 오후 들어 트럼프가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이야기를 나눌 것이라 확신하고, 우리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하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지수는 빠르게 반등하여 보합권에서 장을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유틸리티와 필수소비재가 1% 이상 상승한 반면, 임의소비재, 에너지, 기술주는 하락세를 보였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2.11% 급락하며 중국 기술 분야 제재 확대 우려를 반영했다. 엔비디아는 2.92% 하락했고, TSMC와 ASML, AMD, 퀄컴, Arm이 2% 안팎으로 떨어졌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혼조세를 나타냈다.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이날 백악관에서 행정부를 떠나는 고별 기자회견을 열었지만 3.34% 하락했다.
소매업체들의 주가는 엇갈렸다. 코스트코는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에 3% 이상 상승했고, 울타 뷰티는 ‘깜짝 실적’과 가이던스 상향에 11% 넘게 급등했다. 반면 갭은 시장 기대에 못 미치는 분기 매출 전망에 20% 폭락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선호하는 물가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4월치는 예상에 부합하며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는 4월 기준으로 전월 대비 0.1% 상승하며 예상치에 부합했다. 전월 수치 보합(+0.0%)에서 소폭 상승했으나 완만한 흐름은 유지됐다. 전품목 PCE 가격지수도 0.1% 상승하며 예상치를 벗어나지 않았다.
미국인들의 소비심리는 가파른 하락세를 멈추고 상황을 지켜보는 분위기로 바뀌었다.미시간대에 따르면 5월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는 52.2로 집계됐다. 이는 4월 확정치와 동일하고 시장 예상치는 웃돈 수준이다.
미시간대의 조앤 슈 소비자조사 디렉터는 “5월 초반에는 소비심리가 추가 하락했지만, 5월 중순 일부 관세 유예 발표 이후 회복 기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7월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73.1%로 반영됐다. 전날 마감 무렵보다 소폭 하락했으나 동결론이 우세한 점은 변함이 없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0.61포인트(3.18%) 떨어진 18.57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