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이 난립하는 혁신 기술에 메스를 대기 시작했다. 사고 발생 시 신속한 탈출을 어렵게 만드는 매립식 손잡이에 대한 안전 규정이 도입된 것이다. 여기에 지나치게 커 운전자의 주의력을 떨어뜨리는 디스플레이, 기술 수준을 부풀려 운전대에서 아예 손을 놓게 만드는 ‘자율주행’이라는 문구 등에 대한 비판도 커지고 있어 규제 대상이 확대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혁신 제일주의’에 빠져 있던 중국 자동차 산업이 본질인 안전주의로 돌아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4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현재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자동차 문 손잡이 안전 기술 요구에 대한 강제적 국가 표준 제정 및 개정 프로젝트’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전기가 끊기거나 충돌 등의 사고가 발생했을 때도 차량 문 시스템이 개방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골자다. 매립식 손잡이, 터치식 손잡이 등의 안전 표시가 쉽게 식별돼야 한다는 내용도 함께 담겼다. 매립식 손잡이는 평소 안쪽에 숨어 있다가 필요시 튀어나오는 방식이다. 펑파이는 “혼란스러운 혁신에 ‘일시 정지’ 버튼이 눌린 것”이라고 했다.

중국 전기차의 매립식 손잡이./바이두 캡처

중국 당국이 자동차 문 손잡이 규제에 나선 것은 잇따르는 전기차 사고 때문이다. 지난 3월 중국 안후이성의 한 고속도로에서 샤오미 전기차 ‘SU7’이 고속도로 가드레일을 들이받은 뒤 폭발했다. 이 사고로 탑승객 3명이 사망했는데, 유가족 측은 충돌 직후 문이 잠겨 이들이 탈출에 실패했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4월에도 화웨이와 세레스가 합작해 만든 원제 ‘M7’이 산시성에서 사고가 났는데, 차량 내 전력이 끊기면서 문이 제때 열리지 않아 결국 탑승객 3명이 사망했다.

중국 전기차는 브랜드가 다양한 만큼, 디자인도 천차만별이다. 매립식 손잡이도 종류가 많은데, 특정 부분을 누르면 반대편이 튀어나와 이를 여는 방식이 있다. 잠금을 해제하면 자동으로 손잡이가 튀어나오는 방식, 손잡이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면 이를 감지해 나오는 방식도 있다. 이러한 디자인을 택하는 이유에 대해 중국 전기차 기업 샤오펑의 허샤오펑 회장은 “(매립식 손잡이는) 바람에 대한 저항력이 더 뛰어나고, 차량 모양도 기술적으로 보인다”고 말한 바 있다.

이번 규제를 계기로 중국 전기차 업계의 각종 혁신 기술 중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기술은 정리 단계에 접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펑파이는 “표면적으로 보면 공업정보화부의 손잡이 규제는 단지 기술적 교정에 불과하지만, 실제로는 신에너지차(전기차·수소차·하이브리드차)의 ‘블랙 테크(혁신 기술)’를 겨냥한 것”이라며 “신에너지차는 자동차 산업의 본질인 안전, 실용주의로 돌아가고 있다”라고 했다.

손잡이를 비롯해 차량 내 대형 디스플레이 역시 최근 중국 내에서 규제 필요성이 집중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운전석과 조종석 중간에만 디스플레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앞좌석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크기는 최대 45인치에 달한다. 펑파이는 “실제 버튼이 없는 대형 화면은 조작 편의성이 낮다”며 “음성 인식 기능이 정확지 않은 경우 운전자는 고개를 돌리고 계속 큰 화면을 클릭해야 하는데, 이는 운전하면서 휴대전화로 메시지를 보내는 것만큼 위험하다”라고 했다.

‘자율주행’이라는 문구가 규제 대상이 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중국 전기차에 탑재된 자율주행 기술은 대부분 레벨2로, 운전자가 항상 핸들을 잡고 있어야 하는 수준이다. 운전 보조 수단으로 사용해야 하는데, 자율주행이라는 문구 탓에 운전자가 운전을 소홀히 하고, 결국 사고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현재 중국 최대 전기차 기업인 비야디(BYD)를 비롯해 리오토, 샤오미, 니오, 샤오펑 등 기업들은 자율주행 시스템 홍보 문구를 ‘보조 주행’으로 바꾼 상태다. 아직 명시적 규제가 도입된 것은 아니지만, 관련 당국이 각 기업에 문구 수정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매체 신경보는 “많은 (자동차) 제조업체가 판매만을 추구하고, 의도적이든 아니든 (이 과정에서) 안전성과 실용성을 버리고 있다”며 “기술적 미학을 추구하는 것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경계가 필요하다. 규제 당국은 시기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