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등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연합뉴스

13일(현지 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 계정을 통해 “지난 금요일(4월 11일) 스마트폰과 PC 등이 관세 예외라고 밝힌 것이 아니다”라며 “해당 제품들은 기존의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고 있으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로 옮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중국의 강경 대응 속에서 미국이 한발 물러섰다는 평가가 나오자 상호 관세와는 별개로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반도체 등에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의지를 트럼프 대통령이 분명히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1일 상호관세에 제외되는 전자제품 품목을 구체적으로 명시했으며 관세 징수를 담당하는 세관국경보호국(CBP)은 해당 내용을 공지했다.

CBP에 따르면 반도체 등 전자제품은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125% 상호관세, 그리고 한국을 비롯한 나머지 국가에 부과한 상호관세(유예 조치로 7월 8일까지는 10% 기본관세만 적용)에서 면제된다.

단 미국이 마약성 진통제인 펜타닐의 유입 차단에 협조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별도 행정명령을 통해 부과한 20% 관세는 여전히 적용받는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위 당국자들 또한 방송 출연을 통해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관세가 면제될 뿐 품목별 관세는 부과될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A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관세청 면세 목록에 올라온) 제품들은 상호 관세를 면제받지만, 아마 한두 달 내로 나올 반도체 관세에는 포함된다”고 밝혔다.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는 “관세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단지 다른 제도의 적용을 받게 될 것”이라고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나라들이 우리를 상대로 이용한 비금전적 관세 장벽 및 불공정한 무역수지와 관련해 누구도 봐주지 않겠다”며 특히 중국을 겨냥해 “우리는 제품을 미국에서 만들어야 하며, 다른 나라에 인질로 잡히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