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 직전 상승 마감했다. 그간 관세 관련 비관론이 과도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시장은 강세를 보였다

2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 /로이터연합뉴스

2일(미 동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그룹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235.36포인트(0.56%) 상승한 4만2225.32에 마감했다. 대형주 벤치마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7.90포인트(0.67%) 오른 5670.97,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51.15포인트(0.87%) 높은 1만7601.05에 각각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하루 만에 반등 성공했고, S&P500지수는 3거래일, 나스닥지수는 2거래일 연속 올랐다. 다만 나스닥지수는 지난 연말 역대 최고점 대비 13%가량 낮은 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장 마감 직후 백악관에서 모든 국가에 10% 이상의 상호 관세를 매기는 조치를 발표했다. 한국에는 25%의 관세가 부과된다.

스캇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전날 연방의회 일부 의원들에게 “상호관세가 ‘상한선’ 역할을 할 것”이라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적용 가능한 관세율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발표하고 이후 각국과 협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됐다.

이런 가운데 대형 기술주 그룹 ‘매그니피센트7’(M7) 중 엔비디아(0.25%)·애플(0.31%), 테슬라(5.33%), 아마존(2%)은 오르고 마이크로소프트(0.01%), 알파벳(0.02%), 메타(0.35%)는 내렸다.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조만간 정치 활동에서 물러나 회사에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주가가 올랐고, 아마존은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의 미국 사업권 인수 제안서를 제출했다는 소식에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