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술로 개발 중인 소해헬기가 24일 첫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방위사업청(방사청)은 이날 경남 사천에 있는 한국항공우주(047810)산업(KAI)에서 소해헬기 시제기 첫 비행 성공 축하 행사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방극철 방사청 기반전력사업본부장, 조영상 해군 항공사령관, 신상범 국방기술품질원장, 강구영 KAI 대표이사 등 관련 인사들이 참석했다.
해군 핵심 항공전력인 소해헬기는 해군이 운용 중인 소 바다에 설치된 기뢰를 탐지·제거해 함정의 안전한 항로를 확보하고 해상작전 수행을 지원하는 무기체계다. 수리온 기반 국산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에 미군 등에서 검증된 소해 임무 장비 3종이 탑재됐다. 탑재된 장비는 레이저기뢰탐색장비(ALMDS), 수중자율기뢰탐색체(AUV), 무인기뢰처리장비(AMNS) 등이다.
지난 2022년 개발이 시작된 소해헬기는 지난 3월부터 지상시험을 거쳐 이달 첫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방사청은 이번 첫 비행 성공을 계기로 기술 검증 및 안전성 확인을 위한 비행 시험을 본격화해 오는 2026년 하반기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소해헬기가 전력화되면 적이 주요 항만에 부설한 기뢰 제거, 해상교통로 및 상륙 해안 진입로 확보 등 해군의 임무 수행 지원에 투입될 전망이다.
강중희 방사청 항공기사업부장은 “소해헬기 사업을 통해 해군 기뢰탐색 능력이 보강되고 안정적인 제거 능력을 보유하게 돼 해군의 전시 임무수행 능력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남아있는 개발일정을 차질 없이 수행해 성공적으로 개발을 완료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