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7일 경기도 화성시 소재 수퍼빈에서 기후테크 분야 창업기업들과 ‘스타트업 현장 대화’를 개최하고 ‘기후테크 혁신 스타트업 레벨업 전략’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날 현장 대화에는 순환자원 회수로봇 제조 기업 수퍼빈을 비롯해 와이파워원(무선충전), 비엔지파트너스(녹색금융 지원), 넷스파(재생 나일론), 파이퀀트(공기질‧수질 분석), 마린이노베이션(해조류 등 바이오 제품) 등 기후테크 분야 기업과 전문가 등이 참여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세종 청사. /중기부 제공

중기부는 ‘스타트업 주도의 탄소중립 실현 및 지속가능 경제성장’이란 비전 아래 본격적으로 ‘기후테크 혁신 스타트업 레벨업 전략’을 펼친다.

중기부는 우선 중소기업 맞춤형 분야 기술을 중점 육성하면서, 수요가 많은 ‘시장 선도 분야’ 상용화 지원에 나선다. 탄소 무역규제 대응 등 수출 중소기업의 ‘공정혁신 및 자원순환’이라는 2대 중점 육성 분야를 위주로 기후테크 사업화를 촉진하고 기술 검증에 필요한 최대 6억원의 자금 지원과 AI 첨단 기술 융합을 촉진한다.

또한 SK이노베이션, 포스코 등 기후 분야 관심도가 높은 대기업과의 공동 사업화 및 스케일업을 지원하고, 한국수자원공사가 운영하는 K테스트베드를 연계해 성과가 우수한 기업의 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기후테크 분야 전문성을 갖춘 특화형 팁스 운영 등을 통한 유동성 공급에도 나선다. 기후테크 등 초격차 스타트업에 투자했던 혹은 희망하는 VC‧스타트업 간 정기적인 네트워킹, IR 등을 통해 실질적 투자 연계도 지원한다.

글로벌 진출을 위한 네트워크 확보 등도 단계적으로 지원한다. 민관 협업을 통해 빌&멀린다 재단, 빌게이츠가 기후 기술 투자를 목표로 설립한 펀드 ‘브레이크 스루 에너지 벤처스’ 등 주요 펀드·보조금 정보를 제공하면서 컨설팅을 지원하는 등 해외 진출을 돕는다.

지역의 산업환경, 역량 등을 종합 고려해 클린테크, 카본테크, 기후테크, 푸드테크, 지오테크 등 5대 분야별 규제자유특구도 신규 조성한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혁신적인 기후테크 스타트업의 성장을 지원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