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을 치르는 데 드는 각종 서비스 비용이 전국 평균 2101만원으로 조사됐다. 서울 강남 지역은 3409만원으로, 경상도의 세 배에 육박했다.
한국소비자원은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결혼 서비스 가격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달 계약 기준으로 전국 14개 지역의 결혼식장(370곳)과 결혼준비대행업체(152곳) 등 모두 522곳의 계약 금액을 조사하고, 지역별 가격 편차를 고려해 중간 가격을 대푯값으로 적용해 분석한 결과다.
조사 결과, 토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에 시작하는 예식 5000건의 결혼식장 필수품목(대관료·식대) 계약 금액과 1814건의 ‘스드메’(스튜디오촬영·드레스·메이크업) 계약 금액 등 결혼 서비스 비용은 평균 2101만원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평균 비용은 서울 강남이 3409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서울 강남 외 지역은 2815만원으로 나타났다.
이어 경기 1875만원, 인천 1834만원, 울산 1796만원 순으로 비용이 높았다. 저렴한 곳은 경상도 1209만원, 부산 1227만원, 제주 1543만원, 강원 1627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성수기의 예식장 계약 금액은 중간 가격 기준 1620만원으로 비수기(1170만원)보다 450만원 비쌌다. 결혼식장들은 10월, 5월, 4월, 11월 순으로 성수기를 꼽았다.
결혼식장 계약금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은 식대였다. ‘1인당 식대’의 중간 가격은 5만8000원이었으며, 서울 강남(8만5000원)과 경상도(4만4000원)는 약 두 배 차이를 보였다. 대관료도 강남이 7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광주·제주가 100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소비자원은 조사 대상 결혼 서비스 업체 522곳 가운데 63.6%가 가격정보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결혼 준비 대행 업체는 86.8%가, 결혼식장도 54.1%가 최소한의 가격 정보조차 알리지 않고 있었다. 업체들은 그 이유로 ‘서비스 표준화의 어려움’(56.6%)과 ‘경쟁사 노출 우려’(28.6%)를 꼽았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를 시작으로 지역별 결혼 서비스 가격을 매월 조사해 격월 단위로 공개할 예정이다. 상세한 4월 결혼 서비스 가격조사 결과는 한국소비자원 ‘참가격’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