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시기 호황을 누렸던 인테리어 스타트업들이 엔데믹(풍토병화) 이후 소비 트렌드 변화와 자체 경쟁력 약화로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알렛츠’, ‘하우스앱’, ‘문고리닷컴’에 이어 최근에는 ‘집꾸미기’도 서비스를 종료했다.
스타트업들이 투자 혹한기를 지나며 생존 갈림길에 선 가운데, 인테리어 관련 업체들도 ‘오늘의집’, ‘아파트멘터리’ 등 사업 다각화와 체질 개선에 힘쓴 일부 플랫폼만 살아남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인테리어 플랫폼 ‘집꾸미기’는 지난달 31일 서비스를 종료했다. 2012년 설립된 후 13년 만이다. 이용자들이 인테리어 정보를 공유하는 플랫폼으로 시작해 가구, 가전, 소품 등을 판매하는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매출은 2019년 124억원에서 2023년 8억7000만원으로 급감했다. 2022년 패션 커머스 브랜드인 ‘브랜디’가 인수했다가 2023년 세탁 서비스 ‘런드리고’를 운영하는 의식주컴퍼니로 주인이 바뀌었는데 결국 인수 1년여 만에 서비스를 중단한 것이다.
인테리어 자재 전문 온라인몰인 ‘문고리닷컴’은 지난해 파산 선고를 받았다. 2002년 철물점으로 시작해 셀프 인테리어 유행에 올라탄 뒤 각종 인테리어 자재를 판매하는 전문 쇼핑몰로 성장했다. 2019년 태영그룹 지주사인 티와이홀딩스가 문고리닷컴의 지분 60%를 150억원에 매입했다. 하지만 매년 적자가 늘어나며 2023년 부채비율이 411.8%까지 치솟았다. 티와이홀딩스는 당시 “업계 불황과 장기화한 경기 침체로 파산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라이프스타일 리뷰 플랫폼인 ‘하우스앱’도 2023년 2월 서비스가 중단됐다. 하우스앱 운영사인 하우스미디어가 자금 유동성 악화로 협력사와 크리에이터들에게 정산 대금을 지급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인테리어 조명·가구를 판매하던 쇼핑몰 ‘알렛츠’ 역시 작년 8월 문을 닫았다.
업계에선 인테리어 스타트업들의 연이은 실패 원인으로 우선 소비 트렌드 변화를 꼽는다. 코로나19 기간 동안 실내 공간 개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성장했으나, 엔데믹으로 전환함에 따라 소비의 중심이 외식·여행으로 옮겨가면서 시장이 위축됐다.
대형 이커머스와의 경쟁에서도 밀렸다. 쿠팡, 11번가 같은 대형 온라인몰에서 동일한 상품을 더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는 경우가 생겼기 때문이다.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도 초저가 전략으로 관련 시장에 빠르게 침투했다.
반면 업계 1위인 ‘오늘의집’은 여전히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작년에는 매출 2879억원, 영업이익 5억7000만원, 당기순이익 52억6000만원을 기록하며 2014년 창사 이후 10년 만에 첫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
오늘의집은 콘텐츠 기반 커뮤니티 운영과 제품 카테고리 확장으로 차별화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해 11월에는 자체 가구 브랜드 ‘레이어’를 출시하기도 했다. ‘아파트멘터리’ 등 일부 플랫폼도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스타트업 얼라이언스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대상 투자 건수는 1336건으로 전년(1838건) 대비 27% 줄었다.
업계 관계자는 “장기 불황으로 투자 혹한기에 접어들자 스타트업들이 생존의 갈림길에 놓였다”며 “특화된 서비스를 통해 충성 고객을 확보해야 한다. 차별화된 서비스와 콘텐츠로 경쟁력을 갖춘 소수의 플랫폼만이 살아남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