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 업황이 내리막을 걷고 있다. 고환율과 국제 경기 침체로 인해 면세점 소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12일 면세점 업계에 따르면 올해 1월 국내 면세점 매출액은 9544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40% 감소했다. 직전 달과 비교하면 24%가 줄었다. 면세점 고객 수는 전년 대비 1.5% 증가한 229만 명으로 집계됐다.
면세점 방문객이 늘었음에도 매출액이 줄어든 것은 중국 보따리상(다이궁)의 대량 거래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글로벌 경기 침체로 상대적으로 고가인 면세점 소비가 줄어든 것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런 추세는 작년과 유사한 양상이다. 지난해 국내 면세점 매출액은 4조2249억원으로 전년 대비 3.4% 늘었지만, 달러(105만2307달러)로 환산하면 0.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면세점 고객 수는 2845만 명으로 2023년보다 636만 명 증가했다.
면세업계 관계자는 “고환율과 경기침체로 여행 트렌드가 변하고 있다”라며 “관광객들이 면세점 대신 올리브영과 다이소 등 저가 유통 채널로 소비처를 옮겨가고 있다”라고 말했다.